체인질링 영물들에게 둘러싸여 눈부신 하룻밤을 보냈습니다. 동심원들이 찰랑거렸습니다. 깊이 깊이 아주 깊은 데까지 젖은 돌이 이쪽을 물끄러미 보고 있었습니다. 바꿀 것이 있는데 나의 아름다운 악몽은 조금씩 밝아오고 있었습니다. 지평선이 없었습니다. 시집 『생물성』과 마찬가지로 신해욱의 시집은 시집의 첫번째 시에서 이후 시에 대한 많은 단서를 제공해준다. 김소연 시인의 설명처럼(「헬륨 풍선처럼 떠오르는 시점과 시제」, 『생물성』, 문학과지성사, 2009. 발문 中) 신해욱의 시는 연과 연 사이에 깊은 계곡이 흐른다. 아득한 시차가 느껴지기도 하고, 앞 연의 의미가 뒤따라 오는 연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아, 의미의 이해가 지연되기도 한다. 위의 작품은 '영물 - 동심원 - 젖은 돌 - 악몽 - 지평선', ..
소녀와 달빛 소녀는 잠을 잔다 나무의 발목에서 우물의 옆구리까지 걸어간다 그사이 태어난 아기를 훔친다 아기를 달과 함께 우물에 던진다 엄마는 달려와 물을 퍼낸다 소녀는 계속 잠을 잔다 우물의 겨드랑이에서 나무의 손목까지 걸어간다 그사이 태어난 아기를 나무 위로 던진다 달과 함께 아기가 나뭇가지에 걸린다 엄마는 나무를 가만가만 타고 오른다 소녀는 잠을 잔다 나무의 목에서 공중의 물까지 걸어간다 그사이 태어난 아기를 지붕 위 달 옆에 올려놓는다 엄마는 집을 납작하게 찌그러뜨리고 지붕 위로 올라간다 누가 아기를 여기다 낳아 놓았나! 엄나가 아기를 안는다 소녀는 계속 잠을 잔다 - 『그 숲에서 당신을 만날까』 中 근래 나는 언어의 의미와 이미지 사이에서 고민 중이다. 의미에 의지해 시의 중심에 다가서는 독법은 ..